substr()과 substring() 둘 다 문자열의 일부를 잘라내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사용 방법과 동작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substr() substr() 함수는 문자열의 일부를 일정 길이만큼 추출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"문자열".substr(startIndex, length); // 첫 번째 인자: 시작 인덱스 // 두 번째 인자: 잘라낼 길이 // 예시 "ABCDEFG".substr(2, 3); // CDE //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C부터 세 글자가 추출된다 "ABCDEFG".substr(2); // CDEFG // 두 번째 인자를 생략하면 문자열 끝까지 추출된다 "ABCDEFG".substr(-5, 3) // CDE // -1은 끝에서 첫 번째 문자 // -n이 끝에서 n번째 문자..

1. 카카오 개발자 센터 가입 (https://developers.kakao.com/) 후 로그인 2. 내 애플리케이션 클릭 3.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 클릭 3-1. 앱 이름과 사업자 명 등록 4. 생성된 애플리케이션 클릭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- 네이티브 앱 키: Android, iOS SDK에서 API를 호출할 때 사용 - JavaScript 키: 자바스크립트 SDK에서 API를 호출할 때 사용 - REST API: REST API를 호출할 때 사용 - Admin 키: 모든 권한을 갖고 있는 키 Vue.js 내 자바 스크립트로 구현할 것이기 때문에, JavaScript 키를 이용한다 5. 플랫폼 설정 웹에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Web 플랫폼 등록 버튼 클릭 로컬에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Vue..
menubar.jsp css단에 @font-face 추가 후 @font-face { font-family: 'S-CoreDream-4Regular'; src: url('https://cdn.jsdelivr.net/gh/projectnoonnu/noonfonts_six@1.2/S-CoreDream-4Regular.woff') format('woff'); font-weight: normal; font-style: normal; } html에 적용 하기 위에 html css 단에 font-family 속성 추가 font-family:'S-CoreDream-4Regular';
applicatio.properties에 설정 추가하기 applicatio.properties 파일에 다음 설정을 추가한다 mybatis.configuration.map-underscore-to-camel-case=true mapUnderscoreToCamelCase는 데이터 베이스의 컬럼과 자바 변수를 매핑해 주는 기능을 한다
강사님이 주신 html을 공부하다가 form 태그에 작성되는 onsubmit의 정의가 생각나지 않아 찾아보았다... 로그인 위와 같은 코드에서 onsubmit="return loginValidate();"와 같은 이벤트를 사용해 주고 있는데 submit 버튼을 누르면 loginValidate() 이벤트를 반드시 실행시켜 준다 function loginValidate(){ if($("#userId").val().trim().length === 0) { alert("아이디를 입력하세요 "); $("#userId").focus(); return false; } if($("#userPwd").val().trim().length === 0) { alert("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"); $("#userPwd").f..
* Get과 Post 방식의 비교/차이 -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법 1. GET 방식: (데이터를) 가져오다, 얻어오다 - URL에 변수(데이터)를 포함시켜 요청 - 보안 유지를 안 하기 때문에 로그인 같은 경우는 get 방식으로 하면 부적합하다 - 데이터를 HTTP Header에 포함하여 전송 - GET 방식에서 바디는 보통 빈 상태로 전송되며 헤더의 내용 중 Body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Content-type 헤더 필드도 들어가지 않음 - 전송하는 길이 제한 (보내는 길이가 너무 길면 초과 데이터는 절단됨) - 캐싱 가능(ex. 즐겨찾기, 북마크): 한번 접근 후, 또 요청할 시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시켜 놓는 것 2. POST 방식: (데이터를) 부치다 - 데이터를 서버..

* Servlet이란? - 웹 서비스를 위한 자바 클래스 - 자바를 이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 - 웹 프로그래밍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(응답)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프로그래밍 기술 ex)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려고 할 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서버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다음 페이지를 띄워주는 역할 수행 - 즉, Servlet은 자바 애플리케이션 코딩을 하듯 웹 브라우저용 출력 화면을 만드는 방법 * Servlet 특징 -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-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 -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 - mvc 패턴에서 ..

처음에는 주석 처리한 것처럼 공유 버튼을 눌러서 url을 복사한 다음 src에 넣어 줬다 그랬더니 이렇게 유튜브에서 연결을 거부했다는 연결이 떠서 찾아보니 유튜브 영상에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한 뒤 밑줄친 소스 코드 복사를 이용해 가져와야 됐던 것이다! 이렇게 소스코드를 복사하면 보이는 것과 같이 잘 뜨는 모습을 볼 수 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