녕지의 개발 블로그
Published 2022. 3. 17. 03:23
Get/Post Language

* Get과 Post 방식의 비교/차이

-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는 방법

 

1. GET 방식: (데이터를) 가져오다, 얻어오다

- URL에 변수(데이터)를 포함시켜 요청

- 보안 유지를 안 하기 때문에 로그인 같은 경우는 get 방식으로 하면 부적합하다

- 데이터를 HTTP Header에 포함하여 전송

- GET 방식에서 바디는 보통 빈 상태로 전송되며 헤더의 내용 중 Body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Content-type 헤더 필드도 들어가지 않음

- 전송하는 길이 제한 (보내는 길이가 너무 길면 초과 데이터는 절단됨)

- 캐싱 가능(ex. 즐겨찾기, 북마크): 한번 접근 후, 또 요청할 시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시켜 놓는 것

 

2. POST 방식: (데이터를) 부치다

- 데이터를 서버로 제출하여 추가 또는 수정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

- URL에 변수(데이터)를 노출하지 않고 요청 데이터를 HTTP Body에 포함하여 전송

- 헤더 필드 중 Body의 데이터를 설명하는 Content-Type이라는 헤더 필드가 들어가고 어떤 데이터 타입인지 명시해 주어야 함

- 전송하는 길이 제한 없음, Body에 데이터가 들어가기 때문에 길이에 제한이 없지만 최대 요청을 받는 시간(Time out)이 존재 해서 페이지 요청, 기다리는 시간 존재

- 캐싱할 수 없음, URL에 데이터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즐겨찾기나 캐싱 불가능, 하지만 쿼리스트링(문자열) 데이터, 라디오 버튼, 텍스트 박스와 같은 객체들의 값도 전송 가능

'Langu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마이바티스 설정하기  (0) 2022.05.16
Servlet  (0) 2022.03.16
profile

녕지의 개발 블로그

@녕지

주니어 개발자가 쓰는 IT에서 살아남기 . . .